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

2025. 8. 13 Sat – 12. 28 Sun 나이젤 발다치노 Nigel BaldacchinoCurated by 앤 이멜레 Anne Immelé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는 살아있는 세계의 연결된 관계를 탐구하는 사진 전시입니다. 주로 식물, 꽃,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과 확산을 사진 시퀀스로 그리며, 순간적으로 빛나고 진동하며, 차오르고 움직이고 열망하는 세계의 박동을 드러냅니다. 식물종이 잘 자라는 유럽(독일, 시칠리아, 몰타) 여러 곳에서 촬영한 사진들은 관리된 정원이란 개념에서 벗어난, 야생적이고 원시적인 기운을 나타냅니다. 또, 교배하고 퍼져가는 에너지와 싹을 틔우는 힘에 주목합니다. 식물의 번식력과 독창성은 인간이 구현, 구성한 것들과 함께 대화를 나눕니다.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는 물리적인 땅과 땅 아래 관계에 대한 생각 (대부분의 사진이 아래 땅을 향해 있는데 이는 은유적 의미도 담긴 것입니다), 자연 생명의 박동, 생동적 유동성 등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자연의 역동적 힘으로 살아가는 세계로 초대합니다. "PROMISE LITTER" is a photographic installation that explores sparks of off-kilter energy embroidered into the nature of the photographer’s own world, indiscriminately across vegetation and urban fabric alike. The series reflects on the cardinal regenerative and degenerative forces at play in nature as being synonymous, lending them the same impartial eye. The photographs have their footing in the fringes of the observable, bubbling with a chaotic energy of fertility, germination, decay, stillness, calm, movement, and scatter. With a felt emphasis on photographs looking downward, "PROMISE LITTER" seems to suggest buried lines connecting distant forms of life, accenting the physical ground beneath as if to feel its pulse.-앤 이멜레 Anne Immelé- 작가의 말 The Artist’s Statement 프레모 레비는 1966년 『자연의 역사』라는 단편 소설 연작에서 처음 필명으로 <켄타우로스의 질문>을 출간했다. 그는 “결코 되풀이되지 못할 야생적이고 황홀했던 풍요의 시대에 전 세계가 사랑을 느꼈고 무질서 상태 가까이 강렬히 돌아갔다”라는 이야기에 근거해 현실을 그렸다. 그리고 몇몇 생존 종들이 어떻게 남은 잔재와 얽혀 있는지 묘사했다.‘Litter’라는 한 단어 안에는 회생하고, 퇴행하는 에너지가 함께 있어 날카로운 의미 결합을 드러낸다. 1. i. 승객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가림막 있는 일인용의 손잡이있는 소파 ii. 아프거나 다친 사람을 옮기는 들것과 같은 장치 2. i. 동물이 잘 수 있는 바닥 소재 ii. 동물의 대소변용 깔개 iii. 유기물질로 약간 썩어있는 숲 표면의 최상부 3. i. 출산 동물이 낳은 새끼 4. i. 어질러 있는 쓰레기 ii. 어수선하게 쌓인 물건들 출처: Merriam-Webster Dictionary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연작 작품들은 나이젤 발다치노가 느낀 경험과 ‘Litter’라는 영단어의 다양한 뜻을 참고하여 진행한 것이다. In his story “Quaestio de Centauris,” first published under a pseudonym in 1966 alongside a series of short fiction entitled Natural Histories, author Primo Levi describes a reality whose origins are rooted in "a time, never to be repeated, of wild, ecstatic fecundity, in which the entire universe felt love, so intensely that it nearly returned to chaos," and how some surviving species are still tethered to its latent residue.The word ‘litter’ points towards a poignant set of meanings in the English language, containing regenerative and degenerative energies under one term: 1 i. a covered and curtained couch provided with shafts and used for carrying a single passenger ii. a device (such as a stretcher) for carrying a sick or injured person 2 i. material used as bedding for animals ii. material used to absorb the urine and feces of animals iii. the uppermost slightly decayed layer of organic matter on the forest floor 3 i. the offspring at one birth of a multiparous animal 4 i. trash, wastepaper, or garbage lying scattered about ii. an untidy accumulation of objects - Litter (definition, Merriam-Webster Dictionary) ‘Promise Litter' draws sparingly from this confluence of references, mapping onto them the photographer's felt experience - 나이젤 발다치노 Nigel Baldacchino- 나이젤 발다치노 (Nigel Baldacchino)는 몰타(EU)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로, 사진, 사운드, 텍스트, 공간 디자인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한다. 그는 앤 이멜레(Anne Immelé), 베네딕트 블롱도(Bénédicte Blondeau)와 함께 사진 전시 프로젝트 ‘those eyes - these eyes - they fade’를 공동 설립했다. 프로젝트에서 그들은 대상보다 응시하는 행위에 주목하고, 시공간에 담긴 세계를 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관계 맺는가에 대한 고민이 담긴 작업을 주로 다룬다.나이젤 발다치노의 주요 작업으로는 이미지와 시를 엮은 시집 『Soon Out of Context』과 음악 앨범 《Everything is Still Here》등이 있으며, 2023년에는 퍼넘브라 재단(Penumbra Foundation)과 이미지 스레즈(Image Threads)가 공동 운영하는 장기 포토북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또한 뮐루즈 사진 비엔날레(Biennale de la Photographie de Mulhouse, BPM)의 핵심 기획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Nigel Baldacchino is an artist and designer based in Malta (EU) whose practice spans photography, sound, text, and spatial design. With Anne Immelé and Bénédicte Blondeau, he co-founded the photography-centred itinerant exhibition project those eyes - these eyes - they fade, which exhibits photographers whose work tends to highlight the looking over the looked-at, and is often driven by personal reflections on witnessing and relating to one’s immediate and extended surroundings. Baldacchino also forms part of the core team behind the Biennale de la Photographie de Mulhouse.Publications of his work include the found-image and own-poetry collection Soon Out of Context (Unsolicited Press, 2018) and the album Everything is Still Here (Complex Holiday, 2021). His photography has been exhibited in numerous collective shows internationally, and in 2023 he attended the Long Term Photobook program by Penumbra Foundation and Image Threads. 앤 이멜레 (Anne Immelé)는 프랑스 출신 사진작가이자 큐레이터이다. 주로 특정 지형의 지리적, 인간적, 사회적 관계와 그에 내포된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는 작업을 한다. 최근 작업 시리즈인 ‘Melita, Refuge’에서는 고대 페니키아 항로와 지중해를 가로지르는 현대의 이주 경로를 시각적으로 엮으며, 시적이면서도 정치적인 이미지를 통해 피난처와 변위에 대해 탐구한다.2013년부터는 자신이 공동 설립한 뮐루즈 사진 비엔날레(Biennale de la Photographie de Mulhouse, BPM)를 총괄하고 있다. 또한 사진 시퀀싱에 관한 박사학위 취득 후 프랑스 오트 에콜 데 자르 뒤 랭(Haute école des arts du Rhin)에서 사진을 가르치고 있다. 이번 프레임 전시에서는 뮐루즈 사진 비엔날레를 대표하는 기획자로 참여하며 사진을 통한 소통과 전시를 하나의 교류 공간으로 만드는 작업을 이어 나간다. Anne Immelé is a French photographer and curator whose work explores the connections between memory, territory, and hospitality. In her recent series Melita, Refuge, she weaves a visual narrative between the ancient Phoenician routes and contemporary migratory trajectories across the Mediterranean. Her images, both poetic and politically engaged, question notions of refuge and displacement.Since 2013, she has been directing the Biennale de la Photographie de Mulhouse (BPM), a festival she co‑founded. Since completing her PhD on photo sequencing, she has been teaching photography at HEAR (Haute école des arts du Rhin) in France.For this edition of the FRAME exhibition, she participates on behalf of the BPM as the curator, furthering her exploration of associative dialogue in photographic presentation, as well as the idea of exhibition as a space of encounter. *이번 전시는 몰타예술위원회의 후원과 뮐루즈 사진 비엔날레와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습니다.Supported by Arts Council MaltaIn collaboration with the Biennale de la Photo de Mulhouse(BPM) 개관일 | 수-일요일, 오전 11시-오후 5시 30분휴관일 | 월·화요일, 설·추석연휴입장료 | 무료,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무료후 원 | 2025 경기도 박물관/미술관 지원사업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진새골길 188 | 031-798-2581 | museum@datzpress.com | instagram.com/datzmuseum Bussiness Hours | Wed-Sun 11am-5:30pm, Closed Mon-TueAddress | 188, Jinsaegol-gil, Chowol-eup, Gwangju-si, Gyeonggi-do, South KoreaContact | museum@datzpress.com, 82-31-798-2581

datzmuseum

logo
LOG IN 로그인
  • HOME
    • EXHIBITION
      • Current : 산수경 Sansookyung
      • Current :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
      • Past : 2010 - 2025
    • PROGRAM
      • ABOUT
        • Membership
        • About DMA
        • Residency
      • VISIT
        • Notice
        • Contact
      • |
        • DATZ
          • STORE

            datzmuseum

            logo
            • HOME
              • EXHIBITION
                • Current : 산수경 Sansookyung
                • Current :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
                • Past : 2010 - 2025
              • PROGRAM
                • ABOUT
                  • Membership
                  • About DMA
                  • Residency
                • VISIT
                  • Notice
                  • Contact
                • |
                  • DATZ
                    • STORE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datzmuseum

                      logo

                      datzmuseum

                      logo
                      • HOME
                        • EXHIBITION
                          • Current : 산수경 Sansookyung
                          • Current : PROMISE LITTER 숨겨진 잔해
                          • Past : 2010 - 2025
                        • PROGRAM
                          • ABOUT
                            • Membership
                            • About DMA
                            • Residency
                          • VISIT
                            • Notice
                            • Contact
                          • |
                            • DATZ
                              • STORE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datzmuseum

                                logo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재)닻문화재단 | 대표: 주상연 | 전화: 031-798-2581 | 이메일: museum@datzpress.com

                                주소: (우 12735)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진새골길 184 | 사업자등록번호: 1268213287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