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경 Sansookyung


Min Byung-Hun Photographs 


민병헌 사진전

2025. 9. 13. sat - 12. 28. sun

더도 덜도 아닌 중용의 회색 지대에서 한 폭의 그림이 스며 오른다. 어디선가 본 듯한 익숙하고 부드러운 느낌이 눈에서 마음으로 들어온다. 사진기가 외부의 풍경을 보이는 대로 담는 도구라면, 이것은 사진 같지 않은 사진이다. 기록을 위한 사진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찍었는지가 중요한 단서가 된다. 하지만 그의 사진은 이를 묻기 전에 먼저 마음에 닿는 질감이다. 이런 사진은 시간과 장소, 대상의 경계를 넘어 오래된 근원적 기억을 불러낸다.


사진가 민병헌에게 중요한 것은 피사체보다 자신의 마음이 느끼는 감각이다. 근사한 장소를 소개하는 풍경 사진은 외부 세계를 향하고 있지만, 섬세한 감정을 일으키는 그의 사진은 보는 이의 내면을 향하게 한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이 참된 세계일까, 아름다움은 어디에서 오는가, 빛이 만드는 그림자의 계조와 순백의 질감은 내가 보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하고, 이를 탐미하게 하는 사진이라는 도구에 대해 질문하게 한다. 고요한 한 폭의 수묵화를 떠올리게 하는 이 사진이 궁금해진다. 작은 부분도 섬세히 주목하게 만드는 사각의 프레임은 여백까지 온전하고 조화롭다. 

 

그칠 곳을 알아야 마음이 정해지고, 

마음이 정해져야 마음이 고요해지며, 

마음이 고요해져야 편안해지며, 

편안해진 뒤에야 사려할 수 있고, 

사려한 뒤에야 얻을 수 있다. –대학 


 내향적 문화가 갖는 특성은 ‘그침止, 정함定, 고요함靜, 편안함安’이다. 홀로 되는 것, 멈추고 기다리는 것, 정하게 바라보고 결정하는 것. 다시 돌아오는 것. 자아를 내려놓고 전체를 보는 것. 이 과정은 사진가들이 작업을 하는 과정과 많이 다르지 않다. 


‘산수경山水景’은, 산과 물에 빛이 닿은 풍경이다. 별다를 것 없는 이 땅을 다시 주목하여 아름답게 보게 해준다면 이 사진들은 특별하다. 사진가 민병헌의 첫 시리즈 제목은 “별거 아닌 풍경”(1987년)이었다. 그 후 “잡초”(1990년대) 시리즈로 그는 별거 아닌 것들을 아름다운 흑백 사진으로 변모시키는 암실의 고수로 널리 알려졌다. 그의 사진에서 이미지만큼 중요한 것이 은입자와 종이가 만나는 아날로그적 물성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물리적인 노동과 철저한 사진적 조절을 통해 암실에서 탄생하는 다양한 크기의 프린트는, 암실 작업을 경험해 본 이들에겐 더욱 경이로운 지경이다. 


얼마전 한 전시에서 겸재 정선의 그림을 만났다. 그의 진경산수화眞景 山水畵에서 ‘진眞’은 참됨을 말한다. 서양에서 시작된 사진의 어원은 ‘Photography: 빛의 그림’이지만, 우리가 쓰는 ‘사진寫眞’은 ‘참됨을 모사한다’는 의미가 있다. 동양에서 말하는 ‘참됨’은 과학적 데이터나 보이는 실체의 구체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내는 도에 가까운 직관이고, 마음으로 느끼는 존재감이며, 실체로부터 확산하는 상상에 가까울 것이다. 


 민병헌 작가는 자신의 사진을 동양적 풍경이라 의도하지 않는다. 마음이 이끄는 감각을 따라, 눈이 이끄는 본능을 따라 한 시절 아쉬움 없이 자유롭게 사진기를 들고 노닐었음을 작가는 고백한다. 세상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과 질문으로 오랫동안 다양한 소재를 다룬 작가는 이제 모든 것이 하나로 만나는 완성을 향하고 있는 듯 보인다. 그는 정말 드물게도 서양에서 시작된 ‘사진’ 매체로 동양의 ‘진경’으로 가는 길을 보여주는 독보적인 한국의 사진가이다.

2025년 가을, 닻미술관이 선보이는 민병헌의 ‘산수경’은 말을 버린 진경이다. 빛이 닿은 이 땅의 산과 물이 고요한 음율이 되고 시가 된다. 참됨은 보이는 것에 있지 않고 우리 마음에 있다. 아스라이 비워낸 안개 속 풍경에서 차분히 오르는 마음의 빛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전시와 책을 통해 그 빛을 먼 곳까지 전할 수 있길 기대한다. 


기획의 글 _ 주상연 

A quiet image emerges from a neutral, grey field. It enters through the eyes and lands on the heart—familiar and gentle. If the camera is a tool for recording the visible world as it is, Min Byung-Hun’s photographs are far from such documentation. Photographs as records become essential evidence of when and what the photographer captured. In Min’s work, however, the questions of when and what arise only after the deep sensation felt in his heart. His photographs exist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place, and subject, and they evoke core memories.


For Min, intuitive feeling matters more than the subject itself. Conventional landscape photography points outward, introducing grand locations. Min’s work reflects inward, holding delicate emotion. It makes us wonder: Is the world we see true? Where does beauty come from? Within the deep shadows and the textures of white, we become aware of the act of looking itself. His photographs recall the stillness of East Asian ink paintings, drawing the viewer in to notice the smallest of strokes. The rectangular frame feels whole and harmonious, down to its margins. 


 “A determination of intent comes from knowing where to rest. 

From determination comes tranquility. 

From tranquility comes ease. 

From ease comes deliberation.

From deliberation comes attainment.” — The Great Learning 


Introverted qualities include stopping止, settling 定, quietness 靜, and ease 安: to be alone, to pause and wait, to look with clarity, to return, to set down the self and see the whole. These values mirror the process of making photographs. 


Sansookyung 山水景 means “a landscape of mountains and water touched by light.” These images find beauty in the ordinary. Min’s first series was Insignificant Landscapes(1987), followed by Weeds(1990), which demonstrated his mastery of the darkroom process. He transforms ordinary subjects into poetic black-and-white prints, captivating viewers with a magical allure. Just as important as the image is the physical presence of silver particles on paper. Each print is the result of intense labor and refined darkroom control, from start to finish. Those who have worked in a darkroom will recognize the wonder of such results. 


 At a recent exhibition, I encountered a jingyeong sansuhwa 眞景山水畵, or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Gyeomjae Jeong Seon. In this context, jin 眞 means true—something beyond realism. In Greek, photography means “drawing with light.” In Korean, sajin寫眞 means “to depict the real.” Here, “the real” is not scientific data or visual exactness. It is a truth that transcends what is seen—a form of intuition close to the Tao, a presence felt through the heart, an imagination rooted in reality. 


 Min does not aim to make “Eastern” photographs. He follows the pull of his senses and his gaze, wandering freely with his camera. His work, long shaped by curiosity and questions, now moves toward unity. Rarely do we see a Korean photographer who, through a Western medium, reveals a path to the Eastern jingyeong—a true-view landscape


 In the autumn of 2025, Datz Museum of Art presents Sansookyung by Min Byung-Hun. It is a jingyeong without words. Mountains and water touched by light become rhythm, become poetry. Truth is not in what we see, but in what we carry in our hearts. In a mist-filled landscape, we may encounter a light within. We hope Sansookyung carries that light afar through this exhibition and book.



Sangyon Joo _ Director

floating-button-img